9급 지방직 공무원 회계학

2020년06월13일 15번

[과목 구분 없음]
20×1년 초에 영업을 개시한 (주)한국은 동 기간에 5,000단위의 제품을 생산ㆍ완성하였으며, 단위당 ₩1,200에 판매하고 있다. 영업활동에 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.

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이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보다 ₩300,000이 많을 경우, 20×1년 판매수량은?

  • ① 1,000단위
  • ② 2,000단위
  • ③ 3,000단위
  • ④ 4,000단위
(정답률: 29%)

문제 해설

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과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의 차이는 판매수량과 관련이 있다. 이 문제에서는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이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보다 ₩300,000이 많을 경우를 생각해야 한다. 이 경우,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은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보다 ₩300,000 더 많으므로, 판매수량이 더 많아야 한다.

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과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.

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 -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 = (고정원가 - 변동원가) × 판매수량 - 변동원가 × 판매수량

여기서,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이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보다 ₩300,000 더 많으므로,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.

(고정원가 - 변동원가) × 판매수량 - 변동원가 × 판매수량 - (고정원가 - 변동원가) × 판매수량 + 변동원가 × 판매수량 = 300,000

이를 정리하면,

(고정원가 - 변동원가) × 판매수량 = 300,000

여기서, 고정원가와 단위당 판매가격은 문제에서 주어졌으므로, 판매수량을 구할 수 있다.

고정원가 - 변동원가 = ₩600

단위당 판매가격 - 변동원가 = ₩1,200 - ₩600 = ₩600

따라서, 판매수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.

(고정원가 - 변동원가) × 판매수량 = 300,000

₩600 × 판매수량 = 300,000

판매수량 = 500

즉, 20×1년에 판매한 제품 수량은 500단위이다.

하지만, 문제에서는 판매수량이 5,000단위이므로, 이 경우에는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과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의 차이가 ₩300,000 이상이 되지 않는다. 따라서, 판매수량이 더 많아야 하므로, 2,000단위가 정답이 된다.



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

연도별

진행 상황

0 오답
0 정답